호주 정부가 멜버른 기반의 배양육 스타트업 매직 밸리(Magic Valley) 에 10만 호주달러(약 1억원) 를 지원했다. 이 지원금은 생산 확장, 비용 절감, 연구 단계에서 상업 생산으로의 전환을 돕기 위한 것이다.
이 보조금은 3억 9,200만 호주달러 규모의 산업 성장 프로그램(IGP) 의 일환으로, 정부의 국가 재건 기금(National Reconstruction Fund) 우선 과제인 농업 부가가치 창출 및 저탄소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매직 밸리는 이 지원을 통해 배양 돼지고기 및 양고기 생산을 가속화하고, 바이오프로세싱을 최적화하며, 비용 절감을 실현할 계획이다.
태아 혈청 없이 배양 가능한 획기적인 기술
매직 밸리의 배양육 생산 기술은 기존 방식과 차별화된다. 대부분의 배양육 회사들이 태아 혈청(이른바 FBS, Fetal Bovine Serum) 에 의존하는 반면, 매직 밸리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를 활용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살아 있는 동물의 피부 세포 샘플을 채취한다.
- 이를 배양해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 로 전환한다.
- iPSCs는 다시 근육과 지방 세포로 변화할 수 있다.
세포는 바이오리액터(Bioreactor) 안에서 물, 아미노산 및 영양소가 포함된 배양액과 함께 성장하며, 수 주 후에는 고기 형태로 수확된다. 특히 iPSCs는 무한 증식이 가능하므로, 최소한의 동물 세포만으로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축산업보다 훨씬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육류 생산 방식
매직 밸리의 배양육 생산 방식은 기존 축산업보다 훨씬 환경 친화적이다. 매직 밸리의 기술은 환경적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기존 축산업과 비교했을 때, 탄소 배출량을 92%까지 줄일 수 있고, 토지 사용량을 95% 줄이며, 물 사용량을 78% 절감할 수 있다.
2023년에는 미국 워싱턴 소재 바이오셀리온 SPC(Biocellion SPC) 와 협력해 바이오리액터 설계를 개선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호주 Co-Labs 생명공학 혁신 센터에 새로운 파일럿 시설을 구축하여 최대 3,000리터 규모의 바이오리액터를 운영할 수 있는 생산 환경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매년 최대 15만 kg의 배양육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매직 밸리는 소비자들에게 배양육을 소개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2023년 4월, 빅토리아주 브런즈윅(Brunswick)에 위치한 John Gorilla Café에서 배양 돼지고기 바오(bao) 시식회를 열었으며, 호주 Channel 7 TV 방송에도 출연해 제품을 선보였다. 또한, 고든 램지(Gordon Ramsay)의 ‘푸드 스타즈 오스트레일리아(Food Stars Australia)’ 프로그램에도 등장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현재 배양 양고기를 개발하는 기업은 많지 않지만, 배양 돼지고기 시장에서는 다양한 글로벌 스타트업들이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다.
네덜란드의 미터블(Meatable), 영국의 아이비 팜 테크놀로지(Ivy Farm Technologies), 미국의 미션 반스(Mission Barns) 와 포크 & 굿(Fork & Good), 한국의 심플 플래닛(Simple Planet), 독일의 미리아미트(MyriaMeat), 체코의 뮤어리(Mewery), 그리고 싱가포르의 미트플라이(Meatiply) 등이 대표적인 업체로 꼽힌다.
배양 돼지고기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매직 밸리 역시 호주 및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할 가능성이 크다.
매직 밸리는 이번 IGP 보조금 지원을 받은 5개 스타트업 중 하나다. 산업 성장 프로그램(IGP)은 재생 에너지, 의료 과학, 국방 및 농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이 상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CEO 폴 베번은 이번 보조금 지원에 대해 “이번 지원금은 우리가 배양육을 대량 생산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회입니다. 우리는 단순히 고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음식’을 창조하고 있습니다. 호주 정부가 그 미래를 신뢰한다는 점이 고무적입니다.”라고 밝혔다.
한편, 호주에서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육류 소비를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42%의 호주인이 육류 섭취를 줄였거나, 채식 또는 비건 식단을 따르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25%의 소비자가 육류 섭취를 줄였으며, 앞으로 14%는 추가로 육류 소비를 줄일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배양육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은 상태다. 호주 및 뉴질랜드 소비자의 74%는 배양육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했으며, 단 24%만이 배양육을 기꺼이 시도해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48%는 배양육을 먹지 않겠다고 명확히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호주 정부의 지원은 업계 전반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호주는 현재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대체 단백질 정책 지원에서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어, 이번과 같은 정부 투자가 배양육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