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을 재료로한 식물성 소스 개발

식물성 소스

충북농업기술원은 단백질 함량이 우수한 콩을 주원료로 한 100% 식물성 소스 개발 및 특허 출원에 나섰다.

이 식물성 소스는 콩을 물에 넣고 삶아서 콩물을 만들고, 특정 겔화제와 대체감미료를 첨가해 만들어진 제품이다.

식감은 마요네즈와 유사하며 에 90% 줄어든 칼로리가 특징이다.

지금까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소스로는 마요네즈를 기본으로 케첩 등을 혼합한 사우전아일랜드 소스와 핫도그나 치킨 요리에 어울리는 허니머스타드 소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런 소스들의 주원료는 계란, 치즈 등 동물성재료가 포함된다. 하지만 개발된 소스는 동물성 원료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100% 식물성 소스로 채식주의자들도 걱정없이 섭취할 수 있다.

국내 간편식 시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간편식 시장규모는 2019년 4조원에서 2022년에는 5조원으로 약 20% 급성장을 예측하고 있다.

간편식 문화가 확산되면서 소스 시장 역시 동반 성장을 하고 있다. 최근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식품 소비 트렌드가 큰 폭의 변화를 보이며 간편식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공사는 국내 소스 시장의 규모가 2024년까지 연평균 5%정도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도 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엄현주 박사는 “본 기술을 활용해 시저, 랜치 드레싱 등 10 가지 이상의 다양한 소스에 첨가해 봐도 기호성이 우수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러한 특허기술이 산업화 될 수 있도록 기술 설명회 등을 개최하여 널리 홍보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식물성 핫소스 할인중

식물성 소스로 매운맛을 자랑하고 있는 서울시스터즈의 핫 소스는 8월 1일부터 31일까지 이마트에서 2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할 계획이다.

이 제품은 ‘스리라차’, ‘타바스코’와는 다른 한국의 섬세하고 깔끔한 매운맛을 구현한 제품이다.

주 원료로 국내산 고춧가루, 발효 식초, 동치미, 배를 넣어 우리 입맛에 딱인 제품이다.

고추장핫소스는 채식주의자나 다이어터들에게도 딱 맞는 한국식 핫소스다.

1회 섭취량(15g) 당 20kcal로 칼로리 부담을 줄였을 뿐만 아니라 100% 순식물성 원료로 개발된 ‘비건 천연 감미료’를 함유했다. 화학조미료(MSG)나 캡사이신이 없다는 점도 고추장핫소스만의 강점이다.

More from this stream

Recomended

기후 변화와 한국 농업

기후 변화의 무게로...

기후위기, 국경을 넘다

지난 7월 3일,...

틱톡 따라하다 피부 망친다?

틱톡(TikTok)에서는 이제 단순한...

미국 FDA, 최초로 배양 연어 판매 승인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샌프란시스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