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지하대수층 고갈 심각

지구에서 지하 저수지 역할을 하는 ‘대수층’은 20억명에게 식수를 공급한다. 취수량의 70%는 농업에 사용된다. 그런데 세계 주요 대수층 37개 중 21개에서는 퍼가는 물의 양이 다시 차오르는 양보다 많다. 전문가들은 대수층이 다시 차는 데 수천년이 걸릴 것으로 본다.

유엔 대학 환경·인간 안보 연구소(UNU-EHS)는 지난 25일, ‘상호 연결된 재해 위험 2023’ 보고서를 냈다. 올해 보고서에서는 인류와 생태계가 가까운 미래에 마주할 수 있는, 특히 되돌리기 매우 힘든 ‘극적 전환점(Risk Tipping Points)’이 될 재난을 경고했다.

식량이나 물을 제대로 얻을 수 없는 상황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한다. 다음과 같은 예시의 내용이 담겼다.

  • 멸종 가속화 : 생태계 붕괴에 대한 연쇄반응
  • 지하수 고갈 : 물의 고갈로 인해 식량 공급 시스템의 붕괴
  • 빙하의 녹음 : 2100년까지 50%의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 담수고갈
  • 우주 파편 : 우주 잔해물이 떨어짐
  • 견딜 수 없는 더위 : 살 수 없는 환경
  • 보험 없는 미래 : 위험이 급증함에 따라 보험 가입과 이용이 어려워진다

이런 다양한 위험은 우리의 기후, 생태계, 사회가 본질적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하 대수층은 전 세계적으로 인간이 사용하고 있는 물의 35%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는 지하대수층에서 끌어쓴 물의 양이 60%를 넘는다.

수천 년에 걸쳐 축적된 이 지하수는 매년 눈과 비로 조금씩 채워진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물 공급이 부족하면서 이 지하수를 끌어쓰다보니 빠르게 고갈되고 있는 것이다.

대수층 고갈 예

한 예로 사우디아라비아는 70년대 세계 최대 대수층을 이용해 사막에서 작물을 키웠고 90년대 중반에는 세계 6위 밀 수출국이 되었다. 그러나 2016년 사우디 정부는 밀 수확을 멈췄다. 사우디에서는 지하수가 과잉 추출되면서 대수층 80% 이상이 고갈된 것으로 추정한다.

보고서는 극전 전환점중 다수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근본 원인이라고 봤다. 이 밖에도 세계의 소비 수요 압력이 공통 원인으로 제시됐다. 국제 협력 부족, 성장주의 등도 주요 원인이었다.

보고서의 주요 저자 중 한 명이자 UNU-EHS의 부국장인 지타 세베스바리 박사는 “이런 위험한 극적 전환점들로 인해 우리는 마치 앞이 잘 보이지 않는 절벽에 접근하고 있는 것처럼, 일단 절벽에서 떨어지면 쉽게 돌아갈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우리가 행동을 취하고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경고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마무리됐다.

More from this stream

Recomended

기후 변화와 한국 농업

기후 변화의 무게로...

기후위기, 국경을 넘다

지난 7월 3일,...

틱톡 따라하다 피부 망친다?

틱톡(TikTok)에서는 이제 단순한...

미국 FDA, 최초로 배양 연어 판매 승인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샌프란시스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