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DA, 최초로 배양 연어 판매 승인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샌프란시스코의 바이오테크 스타트업 와일드타입(Wildtype)이 개발한 실험실 배양 연어에 대해 판매 승인을 내리면서, 식품 생산 역사상 획기적인 이정표가 세워졌다. 이 결정으로 와일드타입의 배양 연어는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최초로 판매가 시작됐으며, 전 세계적으로 상업적 판매가 허용된 첫 번째 배양 해산물로 기록됐다.

배양 해산물은 기존의 어획이나 양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을 취한다. 물고기를 기르거나 잡는 대신, 어류의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살코기, 지방, 결합조직 등 실제 어류의 조직을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대규모 어획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괴, 과도한 온실가스 배출, 동물 윤리 문제를 피하면서도 실제 생선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와일드타입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인 저스틴 콜벡(Justin Kolbeck)은 “이 기술이 신생 스타트업 입장에선 긴 여정처럼 느껴졌지만, 식품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당연히 필요한 과정이었다”고 말했다. FDA는 총 6년에 걸쳐 8차례 심층적인 검토를 진행한 끝에 와일드타입의 배양 연어가 기존의 방식으로 생산된 연어와 비교해 안전성에서 차이가 없다고 판단했다.

승인 이후 포틀랜드의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 수상 셰프 그레고리 구르데(Gregory Gourdet)가 운영하는 고급 레스토랑 ‘칸(Kann)’에서 배양 연어 요리가 선보였고, 첫날 준비된 물량이 완판되며 소비자들의 긍정적 반응을 확인했다. 콜벡은 “소비자들은 이 제품을 특별한 실험처럼 여기기보다는 또 하나의 새로운 해산물 선택지로 받아들였다”며 시장 가능성을 낙관했다.

글로벌 경쟁 속 또 다른 선두주자들

와일드타입 외에도 여러 기업들이 배양 연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스타트업 플래시피쉬(Flyfish)는 유전자 조작 없이 자연 상태의 어류 세포를 활용하여 대량 배양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일본의 셀린드(Cellined) 역시 자국의 해산물 소비 문화에 맞춘 고급 배양 연어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특히 셀린드는 일본 내 스시 산업과 협력해 실제 스시용 생연어의 식감과 풍미 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네덜란드의 블루나루(BlueNalu)는 미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미 참치, 방어 등 다양한 고급 어류 품종의 배양 기술을 확보해 다국적 유통망 구축을 준비 중이다. 이러한 기업들은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연구개발 지원을 등에 업고 빠르게 기술력을 확보하며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처럼 배양 해산물 시장은 이제 단일 기업의 독점 영역이 아니라, 다양한 기술적 접근과 문화적 맞춤 전략이 공존하는 복합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각국 소비자의 입맛, 문화, 안전성 기준에 맞춘 맞춤형 배양 해산물이 글로벌 식탁을 채울 날도 머지않았다.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대안: 배양 연어의 미래 가능성

배양 연어가 갖는 가장 큰 의의 중 하나는 환경 지속 가능성이다. 세계 곳곳의 해양 생태계는 과도한 어획으로 이미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으며, 기후 변화까지 가세해 어류 개체수 감소와 서식지 파괴가 가속화되고 있다. 양식업이 일시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양식장 역시 수질 오염, 질병 확산, 자원 낭비 문제를 안고 있다.

콜벡은 “브리스톨 베이처럼 아름다운 야생 어장들이 미래 세대에도 지속되려면, 자연산 어획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며 배양 연어의 가치를 강조했다. 전 FDA 규제 전문가였던 에릭 슐츠(Eric Schulze)도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는 나라이고, 이번 승인은 소비자 선택권과 식품 안전 수준을 동시에 끌어올렸다”고 평가했다.

배양 단백질 산업은 환경적 이점 외에도 경제적 잠재력이 크다. 고부가가치 제조업 일자리 창출, 벤처 투자 확대, 식품 기술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등 다양한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미국 외에도 싱가포르, 이스라엘, 일본, 네덜란드 등도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배양육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어, 글로벌 주도권 경쟁도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식품업계의 패러다임 전환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와일드타입의 배양 연어는 지속가능한 식량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한 걸음이자, 과학기술이 어떻게 환경 보전, 윤리적 가치, 경제 성장이라는 세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가 되고 있다.

More from this stream

Reco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