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시간, 산림생태텃밭이 무엇인지 알아봤다. 지난편 보러가기
오늘은 산림생태텃밭의 특성과 가꾸기에 대해 알아보자.
산림생태텃밭의 특성
산림생태텃밭 정원에는 키가 크게 자라는 유실수나 특용수 아래에 키 작은 관목류, 채소, 산채, 약초류가 함께 자라며 무농약, 무경운의 유기농 자연농법을 지향한다. 철마다 다양한 작물 수확이 가능하도록 입지여건과 생태적 특성을 고려해 재배방식을 취한다. 행여 한 가지가 실패해도 다른 작물의 성공에 의해 회복되며, 단 한 번의 추수 대신 1년 내내 풍성한 수확이 이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작물들은 서로 다른 높이로 자라 공간적인 다양성을 유지하며 땅속에서도 마찬가지로 뿌리의 구조가 식물에 따라 달라 양분과 물을 흡수하는 시기와 깊이도 다양하기에 직접 경쟁하는 일이 없어 빛과 양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여러 작물이 섞여서 함께 자라게 되면 작물 스스로 경쟁과 공생을 하면서 강해지므로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도 높아진다. 여러 작물을 섞어짓는 방식은 잡초를 억제하고 노동력을 절약하며 연작으로 인한 생육피해를 줄이고 한 해 내내 땅을 덮어 침식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런 산림생태텃밭의 섞어짓기 방식은 자급자족 형태의 노동집약적인 소규모 농사에 적합하며 아주 효율적이다.
산림생태텃밭 조성 및 가꾸기
산림생태텃밭 정원은 목본류가 포함되어 한번 조성되면 10년 이상 운영되기 때문에 다른 용도로 개발계획이 없고 접근성이 좋으며, 햇볕이 잘 들고 바람 피해가 적으며 배수가 양호한 곳에 조성하는 것이 좋다. 산림생태텃밭은 조성 후 경운을 하지 않은 자연농법으로 관리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조성 시에 밑거름을 충분히 주는 것이 좋다.
먼저 지형을 정하고 평탄화 작업을 실시하고 경사진 곳은 계단식으로 정지작업을 하는 것이 관리에 유리하다. 척박한 땅은 조성단계에서 밑거름으로 퇴비나 유기질 비료를 평당 10~20kg 정도 뿌리고 산성토양의 경우 토양개량을 위해 석회나 숯가루를 뿌린 다음 땅을 갈고 두둑을 만들어 조성한다. 텃밭이랑은 가급적 남-북 방향으로 배치해 많은 햇빛을 받도록 한다.
*교목층 : 산림생태텃밭의 가장 높은 층을 형성하며 그늘을 만들어 음지식물이나 연약한 작물을 보호해주는 등 많은 종들과 공간을 공유. 유실수(밤, 감, 호두 등), 특용수, 과수(사과, 배, 복숭아 등) 등이 있음
*관목층 : 교목층 아래 혹은 사이에 위치하며, 꽃, 과실, 질소고정, 야생동물(새, 곤충) 유인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오갈피나무, 산딸기, 뜰보리수, 골담초, 앵두나무 등이 있음
*초본층 : 1년생과 다년생 식물로 이루어지며, 작물, 채소, 산채, 약초, 허브 등이 포함됨
*덩굴층 : 덩굴식물이 감고 올라갈 수 있는 지지용 덕이 필요함. 오이, 덩굴콩 같은 1년생 작물과 포도(머루), 다래, 오미자 같은 다년생 목본식물이 있음
서울시에서 발표한 텃밭면적은 2011년 29헥타르에서 꾸준히 늘어 작년 217헥타르에 달했다. 참여 인구도 4만5000여명에서 66만여명으로 15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복잡한 현대사회, 자연속에서 안정을 얻고 행복을 느끼며 생태텃밭을 통해 즐거움을 찾아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자연 생태계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감탄하는 생태적 감수성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