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케아, H&M 재활용 직물 연구

스웨덴의 가구 회사인 이케아와 패션 회사 H&M은 2030년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활용 직물을 공동 연구하기로 했다. 회사들은 이를 위해 데이터 뱅크를 통합해서 운영하기로 했다.

이 회사는 활용 직물의 화학 성분을 조사하는 연구를 위해 2019년에 처음으로 협력했고 이 산업을 보다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이어가기 위해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이 연구 프로젝트에는 아디다스, GAP, PCH 등도 참여했다.

스웨덴 이케아 재활용 직물 프로젝트 리더인 미리암 뤽은 성명에서 “재활용 직물에 대한 연구를 협력함으로 우리는 우리의 사업을 재활용 제품을 사용하는 사업으로 전환하기 한 공동의 도전에 나섰다”고 말했다. 또 “이 연구는 우리의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주었고, 투명성을 갖고 지식 공유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되고 재생 가능한 재료만을 사용하기 위한 자료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면, 양모,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소비된 자재를 조사했다. 표본은 7만 개 이상의 데이터가 모였으며 2.5%는 화학물질의 ‘불필요한 검출’을 나타냈다. 그리고 거의 모든 모직 샘플에서 최소 한 가지 이상의 AFIRM 제한 물질(아파렐 및 신발 국제 제한 물질 목록 관리)이 검출되었다.

H&M 그룹의 재활용 직물 프로젝트 매니저 린 파하디는 “완전히 원형적이고 미래적인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레거시 화학물질을 피해야 한다”며 “업계 협력과 모든 화학 물질에 대한 투명하고 조화로운 위험 평가 방법을 통해서만 우리가 이 프로젝트를 안전하며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이 회사들은 이 조사 결과를 가장 안전할 것으로 여겨지는 직물의 재활용을 허용하는 정책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들 브랜드는 또한 브랜드들이 위험한 화학성분을 함유한 직물을 제한하는 방법론과 도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케아와 H&M 그룹 둘 다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를 늘리기 위해 열심히 일해왔다. 이케아는 재생가능하거나 재활용된 재료만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100%가 순환되도록 2030년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또 2025년까지 판매되는 제품의 50%를 식물성 제품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H&M은 지속 가능한 재료를 특징으로 하는 컬렉션을 계속 제공하고 있다. 지난 달 이 소매업체는 유엔 글로벌 협약과 책임 있는 비즈니스를 위한 10대 원칙의 일환으로 글로벌 콤팩트 리드로 선정된 바 있다.

More from this stream

Recomended

기후 변화와 한국 농업

기후 변화의 무게로...

기후위기, 국경을 넘다

지난 7월 3일,...

틱톡 따라하다 피부 망친다?

틱톡(TikTok)에서는 이제 단순한...

미국 FDA, 최초로 배양 연어 판매 승인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샌프란시스코의...

노르웨이 북극의 사미족 투쟁

노르웨이 최북단의 눈...